송희의 알찬 일기

[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] 6. 고대(경제, 사회) 본문

공부 일기

[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] 6. 고대(경제, 사회)

애쏭1004 2023. 10. 17. 14:16

고대(경제, 사회)

 

삼국의 경제

 

1. 조세 제도

- 조세(토지세 - 곡물이나 포 수취), 공물(특산물), 약(노동력 징발 - 요역, 군역)

 

2. 농업 정책 

- 철제 농기구 보급, 소를 이용한 우경 장려, 수리 시설 확대, 황무지 개간, 농사철 부역 징발 금지

 

3. 수공업

- 관청에 수공업자를 배정하여 왕실과 지배층에게 필요한 무기, 장신구 등 생산

 

4. 상업

- 신라 지증왕 때 동시(시장) 개설, 동시전(감독관청) 설치

 

5. 대외 무역

- 4세기 이후 발달, 주로 공무역의 형태로 전개

- 고구려 : 중국 남북조, 유목 민족과 교류

- 백제 : 중국의 남조, 왜와 교류

- 신라 : 고구려, 백제를 통해 중국과 교류 -> 당항성 확보 이후 중국과 직접 교역

 

삼국의 사회

 

1. 고구려

- 왕족 고씨를 비롯한 5부 출신의 구족이 지배층

- 귀족 회의 : 제가 회의

- 빈민 구제책 : 진대법 실시(고국천왕)

 

2. 백제

- 8성 귀족 -> 부여씨(왕족), 진씨(왕비족), 해씨 등

- 귀족 회의 : 정사암 회의

 

3. 신라

- 귀족 회의 : 화백 회의(만장일치제)

- 골품제 : 성골, 진골,  6~1두품 -> 관직 진출의 상한선, 개인의 일상생활도 규제

- 화랑도 : 화랑(귀족)과 낭도(귀족, 평민)로 구성 ->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 완화

 


통일 신라의 경제

 

1. 토지 제도

- 관료전 지급, 녹읍 폐지(신문왕) -> 백성들에게 정전 지급(성덕왕) -> 녹읍 부활(경덕왕)

- 녹읍 = 역(요역, 군역)

 

2. 조세 제도

- 조세(수확량의 1/10을 국가에 납부, 농민이 귀족의 토지를 빌려 경작할 때는 수확량의 1/2 납부), 공물(촌락 단위로 특산물 납부), 역(16~60세 남자를 대상으로 부과)

- 민정 문서 : 일본에서 발견된 서원경 부근 4개 촌에 대한 기록 문서, 3년 단위로 토지 면적, 인구수, 소와 말의 수, 나무의 종류와 수, 특산물 등을 파악하여 기록, 촌주가 작성

 

3. 상업

- 경주에 서시, 남시를 추가로 설치하고 시전(감독관청) 설치

 

4. 대외 무역

- 당 : 8세기 이후 당과의 관계 회복, 공무역, 사무역 전개 -> 신라방, 신라촌, 신라소, 신라원, 신라관 등 설치, 사신 및 승려, 유학생 파견(빈공과)

- 일본 : 8세기 이후 일본과의 교류 확대

- 국제 무역항인 울산항을 통해 아라비아 상인 왕래

- 장보고의 활동 : 완도에 청해진 설치 -> 신라, 당, 일본을 잇는 해상 무역권 장악

 

통일신라의 사회

 

- 민족 융합 정책 : 통일 직후 민족 융합을 위해 노력 -> 백제와 고구려의 귀족에게 관직 지급, 9주 9 서당

- 6두품의 성장 : 학문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국왕을 보좌하였으나 신분적 제약으로 중앙이나 지방 관청의 요직에 진출 못함 -> 신라 말 반신라적 성격을 보임. 최치원(계원필경, 토황소격문, 빈공과 합격)이 대표적

- 신라 하대 진골 귀족 간 왕위 다툼, 귀족들의 대토지 소유 등으로 지방에서 호족 세력이 성장하고 농민 반란이 일어남 ->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 약화

 


발해의 경제

 

1. 농경과 목축

- 농업(밭농사 중심, 일부 지역에서 벼농사 실시), 목축 발달(말 수출), 수렵(모피, 녹용, 사향 수출)

 

2. 상공업

- 수공업(금속 공예, 직물, 도자기 생산), 상업(수도인 상경과 교통 중심지에서 발전)

 

3. 해외 무역

- 당 : 문왕 때 교류 시작, 산등 반도에 발해관 설치

- 일본 : 한 번에 수백 명이 오갈 정도로 활발히 교류

- 신라 : 신라도라는 상설 교통로를 통해 교류

 

발해의 사회

 

- 주민 구성 : 고구려인(지배층) + 말갈인(피지배층)

- 사회 모습 : 당의 제도와 문화 수용 + 고구려와 말갈 사회의 전통 생활 모습 유지